반응형
K리그
영문: K League
|
||
종목
|
축구
|
|
리그
창설 |
K리그1
|
1983년 5월 8일(39주년)
|
K리그2
|
2013년 3월 16일(9주년)
|
|
국가
|
대한민국
|
|
운영 주체
|
한국프로축구연맹
|
|
총재
|
권오갑(2013~)
|
|
최근
우승팀 |
K리그1
|
전북 현대 모터스(2021)
|
K리그2
|
광주 FC(2022)
|
|
최다
우승팀 |
K리그1
|
전북 현대 모터스(9회)
|
K리그2
|
광주 FC(2회)
상주 상무(2회) |
|
AFC 리그 랭킹
|
2위 #
|
1. 개요
2. 명칭
한국 프로축구 리그가 1983년 처음 출범할 당시의 공식 명칭은 슈퍼리그였다.
그러나 1984년 정부가 명칭에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이 심하다고 지적하며, 슈퍼리그라는 명칭 대신 축구대제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지시하였다.
이로 인해 공식 명칭은 한 해만에 축구대제전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부명칭으로 슈퍼리그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다 1987년 대한축구협회에서 프로축구위원회가 발족하여 프로 리그 운영에 관한 사무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이전 해까지 실업 구단과 프로 구단이 함께 참가했던 리그를 이번 해부터 오직 프로 구단만 참가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꾸면서, 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로 변경하였다.
한국프로축구대회라는 공식 명칭은 1987년부터 1993년까지 사용되다가, 1994년부터 코리안리그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코리안리그라는 명칭은 1994년과 1995년 두 해만 사용되고, 1996년과 1997년 두 해는 다시 한국프로축구대회라는 명칭이 사용되는 등 오락가락한 행보가 이어졌다.
그러다 1998년 공식 명칭을 K-리그로 변경했고, 2010년부터 가운데의 하이픈(-)을 빼고 K리그로 다듬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므로 K리그는 코리안리그라는 공식 명칭의 공식 약칭이 아닌 그 자체로 공식 명칭이다.
특이한 것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공식 약칭도 K리그다.
반면 일본 J리그의 공식 명칭은 일본프로축구리그이며, J리그는 공식 약칭이다.
K리그의 공식 표기법은 한글은 K리그, 영문은 K League로 사용해야 한다.
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에서 코리안리그로 변경한 1994년 당시, 대한축구협회에서 코리안리그를 K리그라고 약칭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1993년 일본에서 J리그라는 공식 약칭을 사용한 일본프로축구리그가 출범하고, 이듬해 한국에서 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에서 코리안리그로 변경하자, 당시 국내 매체에서는 코리안리그라는 같은 명칭을 갖고 있어 축구 코리안리그와 농구 코리안리그라 불리던 프로축구와 실업농구를 축구 K리그와 농구 K리그라 줄여 불렀다.
12 한편 K를 대한민국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명명법은 1980년대 국군에서 각종 국산 무기와 장비에 Korea의 앞 철자 K를 붙여 명명하기 시작하면서 국내에서도 낯선 명명법은 아니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1998년 언론의 보도 편의와 여론을 반영하여 K리그를 새로운 리그 명칭으로 수용하면서 현재 우리에게 잘 알려진 K리그가 된 것이다.
단일 리그였던 K리그는 2012년 승강제를 도입하고 2013년 2부 리그를 창설하면서, 두 개의 디비전을 보유하게 되었다.
디비전이 두 개가 됨에 따라 한국프로축구연맹은 1부 리그와 2부 리그의 새 명칭을 공모하였다.
공모된 명칭을 바탕으로 의견 취합을 거친 결과, 전통 유지 차원에서 K리그라는 명칭은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고, 대신 1부 리그를 K리그 클래식, 2부 리그를 K리그라고 명명하기로 하였다.
상위 리그 또는 하위 리그 신설 과정에서 최상위 리그의 명칭을 새로 짓고 기존 명칭을 하위 리그에 넘겨주는 방식은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방식이었지만, 이렇게 되면 1부 리그를 K리그로 줄여 부를 수 없어 혼란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결국 연맹은 이를 받아들여, 개막전 전까지 2부 리그의 명칭을 새로 정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2013년 3월 11일, 2부 리그의 새 명칭이 K리그 챌린지로 확정되었다.
새로 바뀐 K리그 챌린지라는 명칭은 유소년 리그인 K리그 U-18 챌린지리그와 명칭의 충돌이 있었는데, 유소년 리그는 팬 투표를 통해 K리그 주니어라는 다른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 1부 리그와 2부 리그의 공식 명칭인 K리그 클래식과 K리그 챌린지가 각각 K리그1과 K리그2라는 명칭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K리그1과 K리그2라는 명칭은 대한축구협회에서 구축하고 있는 프로 리그(K리그1, K리그2)-세미프로 리그(K3리그, K4리그)-아마추어 리그(K5리그, K6리그, K7리그)를 연결하는 K리그 디비전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서, 리그의 명칭에 디비전 숫자를 넣어 한국 축구의 디비전 시스템을 직관적이고 명료하게 나타내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다.
그러나 1984년 정부가 명칭에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이 심하다고 지적하며, 슈퍼리그라는 명칭 대신 축구대제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지시하였다.
이로 인해 공식 명칭은 한 해만에 축구대제전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부명칭으로 슈퍼리그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다 1987년 대한축구협회에서 프로축구위원회가 발족하여 프로 리그 운영에 관한 사무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이전 해까지 실업 구단과 프로 구단이 함께 참가했던 리그를 이번 해부터 오직 프로 구단만 참가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꾸면서, 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로 변경하였다.
한국프로축구대회라는 공식 명칭은 1987년부터 1993년까지 사용되다가, 1994년부터 코리안리그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코리안리그라는 명칭은 1994년과 1995년 두 해만 사용되고, 1996년과 1997년 두 해는 다시 한국프로축구대회라는 명칭이 사용되는 등 오락가락한 행보가 이어졌다.
그러다 1998년 공식 명칭을 K-리그로 변경했고, 2010년부터 가운데의 하이픈(-)을 빼고 K리그로 다듬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므로 K리그는 코리안리그라는 공식 명칭의 공식 약칭이 아닌 그 자체로 공식 명칭이다.
특이한 것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공식 약칭도 K리그다.
반면 일본 J리그의 공식 명칭은 일본프로축구리그이며, J리그는 공식 약칭이다.
K리그의 공식 표기법은 한글은 K리그, 영문은 K League로 사용해야 한다.
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에서 코리안리그로 변경한 1994년 당시, 대한축구협회에서 코리안리그를 K리그라고 약칭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1993년 일본에서 J리그라는 공식 약칭을 사용한 일본프로축구리그가 출범하고, 이듬해 한국에서 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에서 코리안리그로 변경하자, 당시 국내 매체에서는 코리안리그라는 같은 명칭을 갖고 있어 축구 코리안리그와 농구 코리안리그라 불리던 프로축구와 실업농구를 축구 K리그와 농구 K리그라 줄여 불렀다.
12 한편 K를 대한민국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명명법은 1980년대 국군에서 각종 국산 무기와 장비에 Korea의 앞 철자 K를 붙여 명명하기 시작하면서 국내에서도 낯선 명명법은 아니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1998년 언론의 보도 편의와 여론을 반영하여 K리그를 새로운 리그 명칭으로 수용하면서 현재 우리에게 잘 알려진 K리그가 된 것이다.
단일 리그였던 K리그는 2012년 승강제를 도입하고 2013년 2부 리그를 창설하면서, 두 개의 디비전을 보유하게 되었다.
디비전이 두 개가 됨에 따라 한국프로축구연맹은 1부 리그와 2부 리그의 새 명칭을 공모하였다.
공모된 명칭을 바탕으로 의견 취합을 거친 결과, 전통 유지 차원에서 K리그라는 명칭은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고, 대신 1부 리그를 K리그 클래식, 2부 리그를 K리그라고 명명하기로 하였다.
상위 리그 또는 하위 리그 신설 과정에서 최상위 리그의 명칭을 새로 짓고 기존 명칭을 하위 리그에 넘겨주는 방식은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방식이었지만, 이렇게 되면 1부 리그를 K리그로 줄여 부를 수 없어 혼란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결국 연맹은 이를 받아들여, 개막전 전까지 2부 리그의 명칭을 새로 정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2013년 3월 11일, 2부 리그의 새 명칭이 K리그 챌린지로 확정되었다.
새로 바뀐 K리그 챌린지라는 명칭은 유소년 리그인 K리그 U-18 챌린지리그와 명칭의 충돌이 있었는데, 유소년 리그는 팬 투표를 통해 K리그 주니어라는 다른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 1부 리그와 2부 리그의 공식 명칭인 K리그 클래식과 K리그 챌린지가 각각 K리그1과 K리그2라는 명칭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K리그1과 K리그2라는 명칭은 대한축구협회에서 구축하고 있는 프로 리그(K리그1, K리그2)-세미프로 리그(K3리그, K4리그)-아마추어 리그(K5리그, K6리그, K7리그)를 연결하는 K리그 디비전 시스템을 위한 것으로서, 리그의 명칭에 디비전 숫자를 넣어 한국 축구의 디비전 시스템을 직관적이고 명료하게 나타내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다.
3. 참가 구단
엠블럼
|
명칭
|
연고지
|
주 경기장
|
참가 연도
|
K리그1 2022
|
||||
강원 FC |
강원 FC
|
강원도
|
강릉종합운동장
|
2009
|
김천 상무 FC |
김천 상무
|
김천시
|
김천종합스포츠타운
|
2021
|
대구 FC |
대구 FC
|
대구광역시
|
DGB대구은행 파크
|
2003
|
FC 서울 |
FC 서울
|
서울특별시
|
서울월드컵경기장
|
1984
|
성남 FC |
성남 FC
|
성남시
|
탄천종합운동장
|
1989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시
|
수원월드컵경기장
|
1996
|
수원 FC |
수원 FC
|
수원시
|
수원종합운동장
|
2013
|
울산 현대 |
울산 현대
|
울산광역시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1984
|
인천 유나이티드 |
인천 유나이티드
|
인천광역시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2004
|
전북 현대 모터스 |
전북 현대 모터스
|
전라북도
|
전주월드컵경기장
|
1995
|
제주 유나이티드 |
제주 유나이티드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월드컵경기장
|
1983
|
포항 스틸러스 |
포항 스틸러스
|
포항시
|
포항스틸야드
|
1983
|
K리그2 2022
|
||||
경남 FC |
경남 FC
|
경상남도
|
창원축구센터
|
2006
|
광주 FC |
광주 FC
|
광주광역시
|
광주축구전용경기장
|
2011
|
김포 FC |
김포 FC
|
김포시
|
김포솔터축구장
|
2022
|
대전 하나 시티즌 |
대전 하나 시티즌
|
대전광역시
|
대전월드컵경기장
|
1997
|
부산 아이파크 |
부산 아이파크
|
부산광역시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1983
|
부천 FC 1995 |
부천 FC 1995
|
부천시
|
부천종합운동장
|
2013
|
서울 이랜드 FC |
서울 이랜드
|
서울특별시
|
목동종합운동장
|
2015
|
안산 그리너스 FC |
안산 그리너스
|
안산시
|
안산와~스타디움
|
2017
|
FC 안양 |
FC 안양
|
안양시
|
안양종합운동장
|
2013
|
전남 드래곤즈 |
전남 드래곤즈
|
전라남도
|
광양축구전용구장
|
1995
|
충남 아산 FC |
충남 아산 FC
|
아산시
|
이순신종합운동장
|
2020
|
4. 시상
리그
|
분류
|
부문
|
상금
|
비고
|
K리그1
2022 |
단체상
|
우승
|
5억 원
|
|
준우승
|
2억 원
|
|||
페어 플레이
|
1000만 원
|
페어 플레이 점수를 산정하여 가장 점수가 높은 팀에게 시상한다.
|
||
개인상
|
MVP
|
-
|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시상한다.
|
|
최다득점상
|
500만 원
|
|||
최다도움상
|
300만 원
|
|||
영플레이어상
|
-
|
K리그 출장 햇수 3년 이내, 해당 시즌 1/2 이상 출장한 만 23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적 선수 중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시상한다.
|
||
감독상
|
-
|
지휘하는 팀의 성적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인상적인 감독에게 시상한다.
|
||
베스트일레븐
|
골키퍼
|
-
|
리그에서 포지션별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뛰어난 골키퍼 1명, 수비수 4명, 미드필더 4명, 공격수 2명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
|
수비수
|
||||
미드필더
|
||||
공격수
|
||||
K리그2
2022 |
단체상
|
우승
|
1억 원
|
|
개인상
|
MVP
|
-
|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시상한다.
|
|
최다득점상
|
300만 원
|
|||
최다도움상
|
150만 원
|
|||
영플레이어상
|
-
|
K리그 출장 햇수 3년 이내, 해당 시즌 1/2 이상 출장한 만 23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적 선수 중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시상한다.
|
||
감독상
|
-
|
지휘하는 팀의 성적과 활약상이 리그에서 가장 인상적인 감독에게 시상한다.
|
||
베스트일레븐
|
골키퍼
|
-
|
리그에서 포지션별 개인 기록과 활약상이 뛰어난 골키퍼 1명, 수비수 4명, 미드필더 4명, 공격수 2명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
|
수비수
|
||||
미드필더
|
||||
공격수
|
5. 우승 트로피
K리그1 우승 트로피K리그2 우승 트로피그동안의 K리그 우승컵들은 동네 체육사에서 파는 저가에 급조된 느낌의 우승컵들이었고, 그나마도 거의 매년 바뀌어서 우승컵의 위엄과 전통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2007년부터 리그의 정통성과 통일성을 확립하기 위해 1여 년에 걸친 기획 끝에, 2008년 K리그 25주년을 맞아 현재의 우승 트로피가 완성되었다.
우승 트로피의 재질은 24K 도금에 높이는 50cm, 무게는 7kg으로 되어있다.
리그 우승팀은 우승 트로피 하단에 우승 시즌과 클럽명이 새겨지며, 1년간 보관 및 관리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게 된다.
다음 시즌 리그 우승팀이 결정되면, 진품 트로피는 반납되고 동일한 크기의 복제 트로피가 주어진다.
연속 우승의 경우에는 진품을 반납하지 않고 이전 시즌 우승에 대한 복제 트로피를 또 수여받는다.
우승 트로피가 현재의 모습으로 바뀐 첫 시즌이었던 2008 시즌, 새 우승컵의 주인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였다.
2012년 승강제 도입으로 2013년부터 K리그가 1부와 2부로 나뉘게 되자, 우승 트로피 또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1부 리그인 K리그1은 K리그를 그대로 승계하기 때문에 기존의 우승 트로피를 사용하게 되었고, 2부 리그인 K리그2는 새로 창설되기 때문에 우승 트로피를 새로 만들게 되었다.
그러나 2007년부터 리그의 정통성과 통일성을 확립하기 위해 1여 년에 걸친 기획 끝에, 2008년 K리그 25주년을 맞아 현재의 우승 트로피가 완성되었다.
우승 트로피의 재질은 24K 도금에 높이는 50cm, 무게는 7kg으로 되어있다.
리그 우승팀은 우승 트로피 하단에 우승 시즌과 클럽명이 새겨지며, 1년간 보관 및 관리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게 된다.
다음 시즌 리그 우승팀이 결정되면, 진품 트로피는 반납되고 동일한 크기의 복제 트로피가 주어진다.
연속 우승의 경우에는 진품을 반납하지 않고 이전 시즌 우승에 대한 복제 트로피를 또 수여받는다.
우승 트로피가 현재의 모습으로 바뀐 첫 시즌이었던 2008 시즌, 새 우승컵의 주인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였다.
2012년 승강제 도입으로 2013년부터 K리그가 1부와 2부로 나뉘게 되자, 우승 트로피 또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1부 리그인 K리그1은 K리그를 그대로 승계하기 때문에 기존의 우승 트로피를 사용하게 되었고, 2부 리그인 K리그2는 새로 창설되기 때문에 우승 트로피를 새로 만들게 되었다.
6. 리그 패치
K리그 챔피언 패치
|
K리그1 패치
|
K리그2 패치
|
7. 시즌별 일람
K리그
|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K리그1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K리그2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반응형
댓글